
유튜브 알고리즘, 한 번쯤은 궁금했던 적 있지?
어떤 영상은 계속 뜨고, 어떤 영상은 아예 안 보이잖아.
최근에 연구자들이 유튜브의 ‘숨겨진 통계’들을 직접 파헤쳤어. 우리가 보통 볼 수 없는 영상 수, 조회수 분포, 알고리즘 작동 방식까지 말이야.
1. 유튜브에는 얼마나 많은 영상이 있을까?
2022년 말 기준으로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 수는 약 98억 개였대.
2023년 넘어가면서 100억 개 넘었을 걸로 봐.
그 해에만 25억 개 이상의 영상이 새로 올라왔대.
그런데 놀라운 건,
유튜브 영상의 절반은 조회수가 35회 이하라는 거야.
조회수 100회 미만이 전체의 65%,
1만 회 이상 본 영상은 3.7%밖에 안 되는데,
이 3.7%가 전체 조회수의 93% 이상을 차지한대.
이게 무슨 뜻이냐면,
대부분의 영상은 거의 안 보이고,
소수의 영상만이 알고리즘 덕분에 대부분의 관심을 독차지하고 있다는 거지.
2. 이걸 어떻게 알아냈냐고?
유튜브는 원래 이런 데이터를 안 보여줘.
공식 API도 다 막혀 있고, 내부 지표는 기업 비밀처럼 숨겨져 있거든.
그래서 연구자들이 ‘무작위 샘플링’이라는 방식으로
유튜브 영상 ID를 하나하나 생성해서 직접 데이터를 긁어모았대.
이걸 “Dialing for Videos”라는 이름으로 불러.
그렇게 해서 대표성 있는 표본을 만들고,
조회수, 업로드 수, 콘텐츠 주제 같은 것들을 분석한 거지.
3. 왜 이게 우리한테 중요하냐고?
우리가 유튜브에서 보는 영상 중 70%는 추천 알고리즘이 보여주는 것이래.
결국 우리가 뭘 보게 될지는 유튜브가 정하는 셈이지.
그래서 이 알고리즘이 어떤 기준으로 영상을 추천하는지를 아는 건 꽤 중요해.
게다가 유튜브는 사용자에게 직접 물어보는 만족도 조사나,
“다음에 이 영상 봤냐?”, “중간에 껐냐?” 같은 행동을 기반으로
알고리즘을 계속 바꾼다고 해.
그런데 이런 내부 지표들은 공개되지 않아서,
일반 유저나 크리에이터 입장에선
‘왜 내 영상은 안 뜨는 거야?’라는 의문만 계속 생기는 거야.
4. 유튜브는 왜 숨길까?
연구자들은 이렇게 말했어.
• 비즈니스 모델 보호: 너무 많은 데이터를 공개하면, 광고주나 규제기관이 불편해할 수 있으니까.
• 알고리즘 조작 방지: 시스템을 악용하려는 사람들을 막기 위해서.
• 광고주 중심의 통계: 유튜브가 보여주는 공식 지표들은 사용자보다 광고주에게 맞춰져 있다는 거지.
실제로 유튜브는 “알고리즘은 영상을 보는 게 아니라 사람을 본다”라고 말해.
이 말이 뭔가 무섭기도 하고, 신기하지 않아?
⸻
한줄 요약
우리가 매일 보는 유튜브, 사실 그 속은 대부분 안 보이는 영상과
알고리즘에 의해 선택된 소수 영상으로 돌아가고 있었던 거야.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결정 피로(Decision Fatigue)란 무엇일까요? (2) | 2025.05.14 |
|---|---|
| 🇺🇸 미국 소비자 신뢰지수, 13년 만에 최저치로 하락 (2) | 2025.05.13 |
| 학교에서 휴대폰 못 쓰게 하면 성적이 올라간다고? (0) | 2025.05.11 |
| AI가 너무 똑똑해진 대가? 미국, 전기 때문에 골치 아프다 (1) | 2025.05.09 |
| 아마존이 월마트 이겼다는데… 그게 왜 중요해? (3) | 2025.05.06 |
댓글